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 2016 - 643 호
2017년도 산업기술혁신사업 통합 시행계획
공고
산업기술생태계
활성화 및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제6차 산업기술혁신계획에 의거 산업통상자원부가 추진하고 있는 산업기술혁신사업의 2017년도 사업별
지원계획을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2016년 12월 14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산업기술혁신사업은
산업기술혁신촉진법 제11조에 따른 산업기술개발사업, 제15조제2항에 따른 개발기술사업화촉진사업, 제19조에 따른 산업기술기반조성사업, 제27조에
따른 국제산업기술협력사업, 그 밖에 산업기술혁신을 촉진하기 위하여 정부 및 기술혁신주체(기업, 대학 및 연구기관 등) 등이 참여하여 추진하는
사업을 말함
1. 공통사항
2017년도 산업기술혁신사업 주요 R&D 제도 개선내용
- 2017년도 산업기술혁신사업 주요 R&D 제도 개선내용 -
|
◆ 정부가 기획하는 과제비중을 축소하고 민간의 창의성, 현장성이 반영된 과제 지원을 확대 (자유공모형
‘15:49%→’17:60%)하며 과제기획의 개방성 강화
◆ 연구자 역량중심 선정을 위해 주관적
연구역량 평가지표를 객관적·체계적 평가 지표로 전환 (주관적 점수 배점, 20점 → 과제수행이력+보유기술역량 등으로 객관적 등급,
지표 30점 상향)
◆ 연구몰입 및 연구 자율성 강화를 위해,
관리·감독형 ‘실태조사+연차평가’를 폐지하고 워크숍 형태의 ‘연구 발표회(progress review conference)’ 형태로
전환
* 연구 및 사업화 관련 문제해결,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컨설팅 형태로 추진
◆ 총 연구기간에 걸쳐 한 번만 협약을 체결하는 일괄협약 방식으로 전환하여 신속한 사업비 지급 및 과제 착수
유도
◆ ‘연구몰입도 제고’와 ‘수행기관의
자율성 확보’간 균형을 위해, 연구원 최소참여율 10% 수준으로 조정 (20%→10%)
◆ 평가위원 2년 임기제 실시를 통해
실적정보 업데이트(매 2년)를 의무화 등 평가위원 이력 정보관리 추진
◆ 성과확산을 위한 후속사업 연계
강화(산업부 중기청 과제 연계 우대) 및 사업비 부정사용 방지를 위한 제재 강화 (참여제한 최대
5년→10년)
◆ 기타, 원천기술에 대한 지원비중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수출촉진형 R&D 집중 지원, 연구수행 총량제 탄력 운영, 경쟁형 R&D 활성화, 외부 기술을
활용하는 기술도입비용 인정 B&D(Buy & Development) 도입
등 |
2. 2017년도 산업기술혁신사업 시행계획 공고 안내자료 ■
2017년도 산업기술혁신사업의 주요 사업내용을 정리한 사업 안내 자료 및 정부 R&D 사업에 참여시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를 12월 14일부터 전담기관 홈페이지에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
안내자료 다운로드 사이트 -
산업통상자원부(www.motie.go.kr), 산업기술R&D종합정보시스템(www.ernd.go.kr),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www.keit.re.kr 및 itech.keit.re.kr), - 한국산업기술진흥원(www.kiat.or.kr),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www.ketep.re.kr) ○
안내자료 주요내용
◇
2017년도 산업기술혁신사업 안내 책자(동 통합 시행계획 공고 사업의 세부내용 소개)
◇
R&D사업 참여 참고자료*
① 산업기술
R&D 주요 핵심안내사항(신청자격, 지원조건, 우대 및 감정사항 등) ② 산업통상자원부 3대 R&D전담기관별 기관소개 및
지원사업 안내 등 ※
단, 참고자료는 ‘17년 1월 18일 이후 전담기관 홈페이지에서 다운받을 수 있음
3. 통합 시행계획 설명회 ■
2017년도 산업기술혁신사업 통합 시행계획 설명회를 정부R&D사업 부처 합동 설명회에서 개최(미래부 주관) 하오니 관심 있는 분들께서는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개최 일시 및 장소
개최 일시 및 장소
지역 |
일 시 |
장 소 |
문의처 |
수도권 |
‘17. 1. 18(수) ~ 1. 20(금) |
서울 숭실대학교 한경직기념관 |
1544-6633 (KEIT R&D 콜센터) |
중부권 |
‘17. 1. 23(월) ~ 1. 25(수) |
대전 국립중앙과학관 사이언스홀 | ※
설명회 세부 일정 및 내용은 전담기관 홈페이지를 통하여 공지 ※ 개최장소 수용인원 규모에 따라 수용인원 초과시 입장이 제한될 수 있음을
양지하시기 바랍니다. ※ 부득이한 사정으로 일정 변경 시 전담기관 홈페이지를 통해 공지 ※ 주차장이 협소하므로 가급적 대중교통을 이용
부탁드립니다.
4. 사업별 지원 계획 ※
지원내용, 지원규모 및 추진일정 등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므로 세부적인 사항은 사업별 공고를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의 통합시행계획 공고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사업 문의처
사업 문의처
사업명 |
산업통상자원부 |
전담기관 |
전담기관 홈페이지 |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
산업기술개발과 044-203-4523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53-718-8476 |
|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 |
소재부품정책과 044-203-4262~3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53-718-8341~9 |
|
우수기술연구센터(ATC) |
산업기술개발과 044-203-4525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53-718-8213 |
|
소재부품전문기술개발사업 |
섬유세라믹과 044-203-4291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53-718-8357~8 |
|
창의산업전문기술개발사업 |
창의산업정책과 044-203-4358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53-718-8214 |
|
생산시스템산업전문기술개발사업 |
기후변화산업환경과 044-203-4243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53-718-8313 |
|
전자시스템전문기술개발 |
전자전기과 044-203-4343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2-6050-2128 |
|
항공우주부품기술개발 |
자동차항공과 044-203-4355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53-718-8478 |
|
국민안전증진기술개발사업 |
창의산업정책과 044-203-4363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53-718-8238 |
|
신성장동력장비경쟁력강화사업 |
기계로봇과 044-203-4309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53-718-8420 |
|
소재부품산업미래성장동력 |
전자부품과 044-203-4272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53-718-8442 |
|
시스템산업미래성장동력 |
기계로봇과 044-203-4311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53-718-8415 |
|
창의산업미래성장동력 |
바이오나노과 044-203-4392, 4395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53-718-8236 |
|
소형무장헬기연계민수헬기핵심기술개발사업 |
자동차항공과 044-203-4326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53-718-8478 |
|
포스트게놈다부처유전체사업 |
바이오나노과 044-203-4395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53-718-8234 |
|
LED시스템조명2.0 |
전자전기과 044-203-4343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53-718-8447 |
|
디자인혁신역량강화사업 |
디자인산업과 044-203-4373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53-718-8218 |
|
센서산업고도화전문기술개발사업 |
전자부품과 044-203-4277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53-718-8453 |
|
스마트공장고도화기술개발 |
기업협력과 044-203-4238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53-718-8444 |
|
산업현장핵심기술수시개발사업 |
산업기술개발과 044-203-4526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53-718-8221 |
|
국가표준기술개발및보급 |
표준정책과 043-870-5341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53-718-8254 |
|
표준안전기반구축 |
인증산업진흥과 043-870-5504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53-718-8251 |
|
기술개발지원기반플랫폼구축사업 |
산업기술정책과 044-203-4503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42-712-9252 |
|
경제협력권산업육성 |
지역산업과 044-203-4428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02-6009-3765, 3771 |
|
기술혁신형중소기업연구인력지원 |
산업기술정책과 044-203-4503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02-6009-3270 |
|
기술성과 활용촉진 |
산업기술시장과 044-203-4532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02-6009-4324 |
|
무역환경변화대응 |
통상정책총괄과 044-203-5623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02-6009-3542 |
|
사업화연계기술개발 |
산업기술시장과 044-203-4535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02-6009-4367 |
|
산업융합기반구축 |
산업기술정책과 044-203-4503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02-6009-3292~8 |
|
산업기술국제협력 |
산업기술개발과 044-203-4525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02-6009-3181 |
|
청정제조기반구축 |
기후변화산업환경과 044-203-4243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02-6009-3293 |
|
산업전문인력역량강화 |
산업인력과 044-203-4222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02-6009-3236 |
|
산업전문인력역량강화사업 |
전자전기과 044-203-4347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02-6009-3233 |
|
산업주도형기술교육혁신 |
산업인력과 044-203-4223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02-6009-3266,3261,3271 |
|
산업현장기술지원인프라조성 |
산업기술정책과 044-203-4503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02-6009-3298 |
|
산학융합지구조성사업 |
입지총괄과 044-203-4455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02-6009-3263 |
|
소재부품산업거점기관지원 |
소재부품정책과 044-203-4256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02-6009-3924 |
|
소재부품산업기술개발기반구축 |
산업기술정책과 044-203-4503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02-6009-3922,3925 |
|
시스템산업거점기관지원 |
기계로봇과 044-203-4312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02-6009-3782~8 |
|
시스템산업기술개발기반구축 |
산업기술정책과 044-203-4503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02-6009-3791 |
|
지역특화산업육성 |
지역산업과 044-203-4429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02-6009-3762~4, 3772 |
|
창의산업거점기관지원 |
바이오나노과 044-203-4394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02-6009-3291, 3297, 3287~8 |
|
창의산업기술개발기반구축 |
산업기술정책과 044-203-4503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02-6009-3292~4 |
|
권역별신산업육성 |
자동차항공과 044-203-4326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53-718-8486~7 |
|
신재생에너지핵심기술개발사업 |
신재생에너지과 044-203-5163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02-3469-8431 |
|
청정화력핵심기술개발사업 |
전력산업과 044-203-5251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02-3469-8441 |
|
발전용고효율대형가스터빈개발사업 |
전력산업과 044-203-5251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02-3469-8441 |
|
원자력핵심기술개발사업 |
원전산업정책과 044-203-5315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02-3469-8442,8448 |
|
방폐물관리기술개발 |
원전환경과 044-203-5345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02-3469-8446 |
|
자원개발기술개발사업 |
자원개발전략과 044-203-5144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02-3469-8388 |
|
에너지자원순환기술개발사업 |
기후변화산업환경과 044-203-4246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02-3469-8387 |
|
에너지수요관리핵심기술개발사업 |
에너지수요관리정책과 044-203-5365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02-3469-8382 |
|
스마트그리드핵심기술개발사업 |
전력진흥과 044-203-5270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02-3469-8444 |
|
에너지안전기술개발사업 |
에너지안전과 044-203-5137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02-3469-8389 |
|
전력피크 대응을 위한 ESS 실증연구 사업 |
에너지신산업진흥과 044-203-5396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02-3469-8383 |
|
에너지인력양성사업 |
에너지기술과 044-203-4541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02-3469-8361~6 |
|
에너지국제공동연구 |
에너지기술과 044-203-4547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02-3469-8343 |
|
에너지기술정책수립사업 |
에너지기술과 044-203-4545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02-3469-8398 |
|
에너지기술수용성제고 및 사업화 촉진 |
에너지기술과 044-203-4545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02-3469-8354 |
|
멀티터미널직류송배전시스템 |
전력진흥과 044-203-5270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02-3469-8444 |
|
ESS기술개발사업 |
에너지신산업진흥과 044-203-5393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02-3469-8383 |
|
나노융합2020사업 |
바이오나노과 044-203-4393 |
(재)나노융합2020사업단 02-6000-7494~7497 |
|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사업 |
바이오나노과 044-203-4392 |
(재)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 031-628-6334 |
|
민군기술협력개발 |
기계로봇과 044-203-4313 |
민군협력진흥원 042-607-6021 |
|
산업집적지경쟁력강화 |
입지총괄과 044-203-4407 |
한국산업단지공단 070-8895-7078 |
|
전력표준화 및 인증지원 사업 |
신재생에너지과 044-203-5174 |
한국에너지공단 031-260-4653 |
|
전력정보화 및 정책지원 사업 |
신재생에너지과 044-203-5165 |
한국에너지공단 031-260-4805 |
|
국민안전감시및대응무인항공기융합시스템구축및운용 |
자동차항공과 044-203-4321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053-718-8423, 8478 |
|
|